엑셀 DAYS360 함수는 1년을 360일로 간주했을 때 날짜 간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
=DAYS360(시작일, 종료일, [계산방식])
- FALSE (기본값, 미국식) : 종료일이 31일이고 시작일이 30일보다 작을 경우, 종료일을 다음달 1일로 간주합니다.
- TRUE (유럽식) : 종료일이 31일 경우, 항상 그 달의 30일로 간주합니다.
엑셀 DAYS360 함수는 회계 연도 기준(1달 = 30일, 1년 = 360일)을 적용하여 두 날짜 간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 입니다. 이 함수는 주로 회계 및 금융 업무에서 활용되며 정해진 기준으로 정확한 일수를 계산할 때 유용합니다.
월말이 28일, 30일, 31일 등으로 달라 혼동이 생길 수 있는 상황에서, DAYS360 함수는 날짜를 1달을 30일 기준으로 단순화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이자 계산이나 급여 계산 등 표준화 된 일수 계산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=DAYS360("2024-10-07","2025-05-22") / / 1년을 360일로 간주했을 때 두 날짜 간 차이인 225를 반환 합니다. =DAYS360("2025-01-01","2025-03-01") / / 1년을 360일로 간주했을 때 두 날짜 간 차이인 60을 반환 합니다.
만약, 두 날짜 사이의 주말 및 공휴일을 제외한 날짜 간 차이를 구하려면 NETWORKDAYS.INTL 함수를, 시작일로부터 특정 일수가 지난 종료일을 구하려면 WORKDAY 함수를 사용합니다.
아래와 같이 함수를 사용하면, 한달 30일 기준의 근무 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=DAYS360("2023-11-15","2025-07-25") / / 결과: 610 (한달을 30일로 간주할 때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근무 일을 계산합니다.)

근무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여 한달 30일 기준의 근무 일수를 계산합니다.
아래와 같이 함수를 사용하면, 한달 30일 기준의 일평균 임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=2854400/DAYS360("2025-01-11","2025-05-11") / / 결과: 23787 (한달을 30일로 간주할 때 임금을 시작일과 종료일의 날짜 간 차이로 나눠 일평균임금을 계산합니다.)

총 임금을 근무 기간(한달 30일 기준)으로 나누어, 1일 평균 임금을 계산합니다.
3번째 선택 인수에 따른 결과 값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제 입니다.
=DAYS360("2025-03-01","2025-03-31",TRUE) / / 결과: 29 (종료일인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.) =DAYS360("2025-03-01","2025-03-31",FALSE) / / 결과: 30 (종료일인 31일을 다음달 1일로 간주합니다.)
=DAYS360("2025-03-30","2025-03-31",TRUE) / / 결과: 0 (종료일인 31일을 30일로 간주 합니다.) =DAYS360("2025-03-30","2025-03-31",FALSE) / / 결과: 0 (시작일이 30일이므로 종료일인 31일을 30일로 간주합니다.)
시작일이 종료일보다 늦을 경우 음수를 반환합니다.
시작일과 종료일 인수는 날짜로 인식 가능한 날짜 형태의 값 또는 숫자 값이여야 합니다. 유효하지 않은 날짜나 텍스트가 입력되면 #VALUE! 오류를 반환합니다.
1달을 30일로 간주하여 계산하기에 실제 날짜와 다르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. 실제 날짜 계산이 필요한 경우 DATEDIF 함수 사용하세요.
엑셀에서 인식 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는 1900년 1월 1일입니다. 이전 날짜를 입력하면 #VALUE! 오류를 반환합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