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타 거래항목 분류하기: 거래내역의 포함 단어로 자동 분류되지 않는 기타 거래항목을 분류합니다. 표의 아무 셀을 선택 후, Ctrl + A 를 누르면 표 전체 범위가 선택됩니다. 범위가 선택된 상태에서 Ctrl + Shift + L 로 필터를 적용합니다.
오빠두Tip : 또는 [데이터] - [필터]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필터가 적용됩니다.
비어있는 구분과 적요를 필터링 후, 각 비어있는 값을 하나씩 입력하면 거래별 계정과목/적요 분류가 완료됩니다.
함수를 값 형태로 변경하기:현재 입력된 구분과 적요는 배열함수입니다. 따라서 엑셀 처리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, 이후 셀 위치가 바뀌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값 형태로 변경하겠습니다. 구분과 적요 범위를 선택 후, 우클릭 - 선택하여 붙여넣기에서 값 형태로 붙여넣기 합니다.
복식부기 장표를 완성하겠습니다. 복식부기를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, "왼쪽(차변)과 오른쪽(대변)의 합계가 같아야 한다"는 것입니다. 따라서 은행에서 다운받은 통장내역의 값을 왼쪽<->오른쪽을 바꿔서 우측 표에 입력합니다.
오빠두Tip : 실제 기업 회계에서는 하나의 거래에 여러 계정과목이 들어가거나, 자산의 변동 없이 자본/부채 변동만 발생하는 상황도 있어 정확한 회계 지식이 필요합니다. 하지만 일반 개인이 작성하는 가계부의 경우, 오늘 강의에서 소개해드린 방법만 적용해도 충분히 체계적인 자산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.
거래설명의 차변/대변 입력하기: 예제파일의 F2셀은 C2셀의 값, G2셀은 B2셀의 값으로 불러옵니다. 이후 수식을 아래로 자동채우기 하면 통장내역의 값이 좌우 치환되어 입력됩니다.
오른쪽 거래 설명 부분의 차변과 대변을 입력합니다.
함수를 값 형태로 변경하기: 차변과 대변 범위를 선택 후 복사합니다. 이후 우클릭 - 선택하여 붙여넣기에서 값형태로 붙여넣기합니다.
함수를 값 형태로 붙여넣기 합니다.
복식부기 장표 완성하기: 거래 설명이 입력된 F1:I75 범위를 선택 후, Ctrl + X 로 잘라내기 합니다. 이후 잘라낸 범위를 B76셀에 붙여넣기 합니다.
오른쪽 설명영역을 잘라내기 후, 통장내역 밑으로 붙여넣기 합니다.
날짜 범위인 A1:A75 범위를 복사 후, A76 셀에 붙여넣기 합니다. 방금 전에 잘라서 붙여넣기 한 범위와 동일한 높이로 딱 맞게 붙여넣기 됩니다.
거래일자를 복사 후 아래쪽에 붙여넣기합니다.
76행에 입력된 머릿글은 우클릭하여 삭제합니다.
불필요한 머릿글을 제거합니다.
A:E 범위 선택 후, Ctrl + Shift + L 을 눌러 자동필터를 적용합니다. 이후 날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복식부기 장표가 완성됩니다.
피벗테이블 만들기: 표의 아무 셀을 선택 후, [삽입] - [피벗테이블] 버튼을 클릭하여 피벗테이블 만들기 대화상자를 실행합니다. 이후 '새 워크시트'에 피벗테이블을 추가합니다.
복식부기 범위를 참조하여 피벗테이블 보고서를 생성합니다.
[비고] 필드를 행 영역으로, [거래일자] 필드를 열 영역으로 이동합니다.
각 필드를 피벗테이블 영역으로 이동합니다.
계산필드 추가하기: 피벗테이블을 선택 후, [피벗테이블 분석] 탭 - [계산 필드] 로 이동합니다. 이후 새로운 계산필드를 추가합니다. 이름은 '잔액' 으로, 수식은 '입금-출금'으로 입력합니다. [추가] 버튼을 누르면 계산필드가 추가됩니다. 계산필드를 추가하였으면 [확인] 버튼을 눌러 창을 종료합니다.
잔액을 표시하기 위한 계산필드를 추가합니다.
오빠두Tip : 수식을 입력할 때, 필드를 더블클릭하면 수식란에 필드명이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수식을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.
잔액을 값 영역으로 이동하면 각 비고 별 지출여부가 정리됩니다.
잔액을 값 영역으로 이동합니다.
피벗테이블 꾸미기: 피벗테이블에서 날짜를 우클릭 한 뒤, [그룹]으로 이동합니다. 이후 날짜를 연과 월로 그룹화합니다.
이후 [디자인] 탭 - [부분합] - [부분합 표시 안함]을 선택하면 연도별 부분합이 해제되면서 피벗테이블 보고서가 더욱 깔끔해집니다.
피벗테이블의 부분합을 표시 안함으로 변경하면 보고서가 더욱 깔끔하게 완성됩니다.
오빠두Tip : 또는 단축키 ALT - J - Y - T - D 를 차례대로 누르면 '모든 부분합 표시 안함'이 더욱 빠르게 실행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