엑셀 SUBTOTAL 함수 사용법 및 공식 총정리
엑셀 SUBTOTAL 함수 목차 바로가기
함수 요약
SUBTOTAL 함수는 필터링 후 화면에 보이는 범위의 부분 합계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
함수 구문
= SUBTOTAL ( 계산방식, 범위1, [범위2], ... )
인수 알아보기
인수 | 설명 |
계산방식 | SUBTOTAL 함수로 계산할 계산방식입니다. 아래 계산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숫자로 입력합니다.
필터링 후 화면에 보이는 셀만 계산하라면 101~110 사이 값을 입력합니다. 실무에서는 주로 109 가 사용됩니다. (필터링 후 화면에 보이는 셀의 합계 계산) |
범위 | SUBTOTAL 함수로 계산할 범위입니다. 최대 254개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 |
계산방식
함수 | 필터링 된 범위 제외 (숨겨진 셀은 포함) |
필터링, 숨겨진 셀 모두 제외 |
AVERAGE (평균) | 1 | 101 |
COUNT (숫자 개수) | 2 | 102 |
COUNTA (값 개수) | 3 | 103 |
MAX (최대값) | 4 | 104 |
MIN (최소값) | 5 | 105 |
PRODUCT (곱셈) | 6 | 106 |
STDEV (표준집단 표준편차) | 7 | 107 |
STDEVP (모집단 표준편차) | 8 | 108 |
SUM (합계) *주로 사용 | 9 | 109 |
VAR.S (표본집단 분산) | 10 | 110 |
VAR.P (모집단 분산) | 11 | 111 |
SUBTOTAL 함수 상세설명
SUBTOTAL 함수는 필터링 후 화면에 보이는 범위의 부분합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 SUBTOTAL 함수로 합계, 평균, 개수, 최대값 등 다양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특히 SUBTOTAL 함수는 숨겨진 셀을 제외하고 보이는 셀에 대해서만 부분합을 계산할 수 있어, 실무에서 다양한 보고서 제작에 자주 사용됩니다..
SUBTOTAL 함수 사용법 간단예제
- 필터링 된 범위 제외 후 화면에 보이는 값 합계 구하기
=SUBTOTAL(109,C1:C100)
'필터링 후 C1:C100 범위에서 화면에 보이는 값의 합계를 계산합니다. - 필터링 된 범위 제외 후 화면에 보이는 값의 개수 구하기
=SUBTOTAL(103,A1:A100)
'필터링 후 화면에 보이는 제품의 개수를 셉니다.
호환성
운영체제 | 호환성 |
Windows 버전 | 모든 엑셀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|
Mac 버전 | 모든 엑셀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|
예제파일 다운로드
오빠두엑셀의 강의 예제파일은 여러분을 위해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[엑셀함수] 엑셀 SUBTOTAL 함수 사용법예제파일
관련 기초함수
그 외 참고사항
- 함수의 계산방식으로 1~11 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면, 숨겨진 셀의 값을 모두 포함한 부분합이 계산됩니다.
- 101~111 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면, 숨겨진 셀을 제외하고 화면에 보이는 셀의 부분합을 계산합니다.
- 자동필터로 숨겨진 셀 (행의 머릿글이 파란색)은 1~11사이의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부분합에서 항상 제외됩니다.
- SUBTOTAL 함수는 세로로 입력된 데이터에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따라서 가로로 입력된 데이터의 경우, 열을 숨기더라도 SUBTOTAL 함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- 범위를 여러개 입력하였고, 범위가 서로 중첩될경우 중첩된 범위의 부분합은 무시됩니다.